구분 | 내용 |
---|---|
마감일 | 2013-08-30 |
부처명 | 산업통상자원부 |
공고기관 |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|
링크주소 | http://www.keit.re.kr/article.do?psStep=view&bbsCD=ann_bor&gbn=03_12&BIdx=76351 |
|
|
|
---|---|---|
|
|
ICT와 타산업 융합(헬스, 의료, 생활, 안전 등) |
|
ICT 기반의 미래 혁신 新기술·서비스 | |
|
시스템 |
5G, D2D, 근거리통신(WiFi, NFC 등), 무선백홀, 기타무선통신 |
플랫폼 |
상황인지, 위치측위, 분산형 모바일네트워크, 이동성 관리, 모바일 망구성 | |
부품, 시험·인증 |
고성능 AP, 이동통신 RF·안테나, 모뎀, 저전력 단말, 에너지 하비스트, 시험·계측 | |
|
|
코어망, 전송망, 유무선 액세스망, 기업망, 융합인프라 |
플랫폼 |
스마트인터넷 플랫폼(NaaS 플랫폼 등), NfV 및 SDN, 서비스 전달 플랫폼, 서비스·네트워크 관리 시스템, 네트워크 통합 제어 시스템, 네크워킹 소프트웨어, 분산 클라우드 플랫폼 | |
모듈·부품 |
광 네트워크 소자·모듈·부품 | |
혁신 기술 |
인터넷 혁신 구조·시스템·플랫폼·제어·관리, 인터넷 사이언스(인터넷 이코노믹스, 스마트 데이터 프라이싱) | |
|
|
안테나·RF부품, 전파전파, 주파수 발굴·이용효율 향상 |
|
인체보호, 기기보호, 공간보호, EMP 방호 | |
|
무선전력전송, 전파의료, 전파탐지·보안영상 | |
|
위성 RF부품, 우주전파환경 예·경보, 위성탑재체, 위성관제, 위성 주파수 활용 | |
|
위성방송·통신 서비스, 위성항법 서비스, GPS 전파교란 대응 | |
|
창작 플랫폼 |
미디어 제작·획득·편집, Tool 및 S/W 플랫폼 |
인프라 기술 |
채널 효율화, 부·복호화, 전송, 수신 | |
장비·단말 |
카메라, 자막발생기, 송수신 장비(인코더, 디코더, 믹서, 변조기, 앰프 등), STB, TV | |
및 재난방송 |
장애인 지원방송, 이동 재난방송 | |
|
|
암호, 인증, 부채널 방지, 보안 적합성 평가 |
시스템보안 |
무선보안, 해킹·침해 대응, 스마트기기 보안, 보안관리 | |
보안 |
클라우드 보안, DB·웹 보안, 콘텐츠보안, 개인정보보호, 스팸 대응, 유해정보 대응, 디지털포렌식 | |
|
바이오인식, 영상감시, 탐지·검색, 출입통제 | |
|
전력보안, 운송보안, 항공·조선보안, 자동차보안, 헬스케어보안, 기반시설 보안 | |
|
|
초고속·대용량·저전력 시스템 SW(매니코어·멀티코어 병렬분산처리, 운영체제 고도화 기술, 슈퍼컴퓨팅(HPC), 분산저장 파일 시스템, DBMS, 고속네크워킹, 미들웨어 등) |
|
휴먼인지(음성·영상·패턴·동작·표정·감성·사건·상황 인식), 사용자 모델링, 지식처리(온톨로지, 추론, 학습, 계획, 자율협업·문제해결), 언어이해·대화, 통번역, HCI/NUI, 차세대 브라우저, 디바이스웹, 인텔리전트웹 | |
|
빅데이터 수집·저장·관리·분석(마이닝)·예측, IoT 폭증데이터 실시간처리, 멀티모달 빅데이터 의미적 융합처리, 소셜네트워크 데이터 분석(감성분석 등), 지식·직관추출, 직관적 시각화 | |
컴퓨팅 |
컴퓨팅 자원 가상화·Scale-out 기술, 가상 데스크탑 기술, QoS 보장기술, 고속백업·무정지·보안 서비스 SW기술, 클라우드간 매쉬업, 그린 클라우드·서비스 효율화SW 기술, 자원·서비스 관리 지능화, 표준대응기술 | |
컴퓨팅 |
웨어러블 컴퓨팅(Google glass, iWatch 등), 의류형·신체부착형 컴퓨팅, 시촉각 인터페이스, 감성 인터페이스, natural interface, AR(Augmented Reality), SNS(Social Network Service), CPS(Cyber Physical System), HPC(High Performance Computing), 수퍼컴퓨팅 | |
|
|
WoT·IoT 융합응용 SW(시맨틱 WoT 등), 반자동·자동 서비스 매쉬업·디스커버리, SaaS(Software-as-a-Service), PaaS(Platform-as-a-Service), XaaS(X-as-a-Service), 패키지SW의 서비스화 기술, 차세대 소셜·웹 서비스 |
|
UI/UX 플랫폼, 가상·증강·소환·혼합 현실 SW, 오감·신체신호 기반 복합 상호작용 SW, 2D·3D 고속처리, 극사실 실감 시뮬레이터 SW | |
|
응용SW 기능·성능·품질 고도화·혁신 기술, 혁신적 신개념 응용SW·앱, 산업·기술분야간 융합 SW | |
|
뉴스마트기기·내장형SW(웨어러블 HW/SW플랫폼 등), 병렬처리, 저전력, 고신뢰 지원, CPS (Cyber Physical System), SW고품질화 지원 SW공학도구 | |
서비스 |
플랫폼 |
스마트홈 허브·미들웨어·클라우드, 스마트스크린, 소셜서비스, 융합서비스 수집·분배 |
|
스마트홈 네트워크·단말, 스마트 미디어서비스·인터랙티브 UI/UX, 케어단말 | |
|
융합 초연결 장치, 물리·화학·바이오 정보 센서, 센싱 디바이스, IoT/WoT기반 전자 정보 수집 장치, Depth 센서, 공간인지 센서, Ambient body 센서, 비침습·비접촉 진단센서, 미터링 장치, 비전센서 | |
|
웹OS, 브라우저, 디바이스웹, 인텔리전트웹, IoT OS, WoT 브로커리지, 버티컬 서비스 네트워크 연동, 메시지 푸시, 식별체계, 네이밍, 단말·GW 연동, 서비스 플랫폼, 네트워크 구조모델 | |
|
RFID 태그·리더, 모바일RFID, 센서·센서노드, 센서네트워킹 | |
콘텐츠 |
콘텐츠 |
컴퓨터 그래픽스, 컴퓨터 비전, 3D/4D/UHD 영상 생성·저작, 홀로그램, 특수효과, 디지털 시네마 |
콘텐츠 |
가상현실, 동작인식, 오감인식, 인터랙티브 광고, 감성·인지웨어 | |
|
콘텐츠 분석·검색, 상황인지 콘텐츠, 소셜 클라우드 협업, 스마트 러닝, N-screen 콘텐츠 | |
|
콘텐츠 거래인증·과금처리·분석·통계, 콘텐츠 패키징·분산·전송, 콘텐츠 유통 플랫폼, CDN | |
|
1인 창작지원 콘텐츠 서비스, 공공복지 콘텐츠 서비스, SNS 응용 서비스, 빅콘텐츠 서비스, 3D 프린팅 콘텐츠 서비스 |
| ||
---|---|---|
|
|
|
|
| |
|
|
|
|
| |
---|---|---|
|
| |
|
|
|
|
| |
|
|
|
|
| |
|
|
|
|
| |
|
|
|
|
|
|
|
| |
|
|
|
|
| |
|
|
|
|
|
|
|
|
|
|
| |
|
| |
|
|
|
Designed by sketchbooks.co.kr / sketchbook5 board skin
Sketchbook5, 스케치북5
Sketchbook5, 스케치북5
Sketchbook5, 스케치북5
Sketchbook5, 스케치북5